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관련 대응 조치계획

 

1. 원내 예방 조치

1) 전염병 발생관련 알림 및 예방수칙 안내문 부착

ㅇ생활관 전실 부착 완료(76객실)

ㅇ식당, 보건실, 하늘담터 등 원내 전지역

2) 대처용품 구입 및 비치

ㅇ마스크(N95 마스크) 구입(신규 150개)

ㅇ고막체온계 추가 구입(기존 3개→추가 10개)

ㅇ손소독제 46개, 손세정제 90개 구입 및 비치

3) 감염증상 의심자 발생시 임시 격리장소 마련

ㅇ생활관 1층 107호(남자), 108호(여자)

4) 원내 건물내부(본관, 생활관, 하늘담터 등) 해충방역 조기 실시

 

2. 학교단체수련활동시 조치
1) 입소대상 학교 사전 안내
ㅇ고열 또는 유사증상 등을 보이는 학생의 사전 체크 및 입소차단 : 고객지원부(박경애 대리)

2) 학교단체수련활동 입소 및 활동시 조치

<안내사항>

① 유사증상 등을 보이는 학생의 일일 점검

② 수련활동, 식사 시 반드시 손 씻기 등 위생관리 철저 안내

③ 의심증상 발생 시 대처 및 이/후송 안내

④ 사전 체온체크 등 협조

⑤ 의심증상자 발생시 즉시 연락 : 보건담당자(033-330-0820)

ㅇ 입소시 교사 브리핑시 안내(고객지원부, 활동운영부)

ㅇ입소식시 메르스 예방 및 대응 관련 교육(고객지원부 보건담당자)

ㅇ입소학교 수련생 대상 체온 체크(입소 2일차 점심식사 이후)

- 활동운영부 지도자 운영(필요시 고객지원부 지원)

ㅇ수련활동 중 의심대상자 발견시 즉시 연락(활동담당자 →보건실)

3. 의심 증상자 발생시 대응 절차

1) 수련원

ㅇ의심증상자 발생→보건실 이송→보건담당자 증상 확인→수련원 지정 격리 장소로 환자 이송(생활관 107호, 108호)→상황보고(고객지원부장, 원장)→일정시간 경과 체크(체온 점검 등)→관할 보건소로 후송(후송 : 운영관리부 후송 담당자)

※ 학교와 상의하여 해당 학부모에게 인계(퇴소 조치)

 

2) 대응절차 및 연락체계(외부)

3) 의심증상자 확정 판정 후 조치

ㅇ 보건소 확진 판정 후 청소년활동안전센터 통보(02-6959-7123)

 4) 직원의 의심 증상 발생 시에도 고객과 동일하게 조치

참조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개요

1. 개요 및 특성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ㅇ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중증급성호흡기 질환
ㅇ최근 중동지역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주로 감염환자가 발생하여 MERS란 이름으로 명명

□ 임상적 특성

ㅇ잠복기 : 5일(2~14일) 이내 증상
ㅇ증상 및 징후 : 38℃ 이상의 발열,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등)
ㅇ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 저하자 예후 불량치료 :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내과적 치료
ㅇ시행예방 :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및 동물(특히, 낙타)과의 접촉을 피하고, 손 씻기 등의 일반적인 호흡기질환 예방수칙 준수

□ 역학적 특성
ㅇ연령분포 1-94세(평균연령 48.5세)
ㅇ남:여≒1.7:1
ㅇ현재까지 명확한 감염원과 감염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낙타를 통한 감염 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확진환자의 가족, 의료진 등에서 밀접 접촉*에 의한 감염 사례가 보고됨

□ 밀접접촉(Close contact) 예시
ㅇ확진 또는 의사환자를 돌본 자(의료인, 가족포함)
ㅇ환자 및 의사환자가 증상이 있는 동안 동일한 장소에 머문 자(동거, 방문 등)
※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핫라인 : 043-719-7777

 2. 증상/대처요령 및 예방수칙

□ 감염증상

ㅇ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 (기침, 호흡곤란, 숨가쁨)

ㅇ소화기 증상(설사 등) 일부 발생

ㅇ만성질환, 면역기능 저하자는 폐렴,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동반

 

□ 대처요령

ㅇ질병안내 및 위생교육 철저

ㅇ활동, 식사 시 위생관리 철저

ㅇ증상발생 시 병원으로 후송

 

□ 예방수칙

ㅇ예방 백신 없음
ㅇ평상 시 손 씻기 등 수칙 준수
(비누와 물 또는 손세정제를 사용 하여 손을 자주 세척)
ㅇ기침, 재채기 시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휴지는 반드시 쓰레 기통에 버리기
ㅇ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말기
ㅇ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ㅇ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는 즉시 병 원 방문